지난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제소에 따른 일부 코인들의 증권성 판정으로 솔라나, 에이다 등 각종 알트코인이 급락했습니다. 이날 하루간 사라진 코인 시가총액은 무려 57조원에 달합니다. 비트코인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흐름을 보였지만 솔라나가 20%, 폴리곤이 23% 하락하면서 알트코인 투자자들은 비명을 지를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증권성 판정에 따른 알트코인의 하락세보다 더 주목해야 할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바이낸스에 대한 규제 당국의 입장입니다. 표면상으로만 보면 SEC가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를 잇달아 제소하면서 두 거래소에 대한 제재가 동일선상에서 비교되는데요. 한꺼풀만 벗겨보면 매우 다릅니다. 코인베이스는 거래소 미등록, 그리고 미등록 증권에 대한 거래 지원 등에 대한 제소가 주이지만 바이낸스는 고객 자산의 유용, 그리고 이에 기반한 사기 혐의가 적용돼 있습니다. 게다가 창업자이자 CEO인 자오창펑도 제소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제소에 이은 조치들도 사뭇 다릅니다. 코인베이스는 법정 공방을 예고하면서 관련 절차를 진행중이지만 바이낸스는 SEC가 자산 동결과 자오창펑에 대한 자체 수사를 법원에 요청했습니다. 소문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가 이미 바이낸스 수사를 진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도 하네요. 규제, 사법 당국의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도 미국 당국입니다.
그렇다면 이같은 규제의 칼날에서 바이낸스의 향방은 어떻게 될까요? 정말로 전세계 1위 거래량을 자랑하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규제의 칼날에 희생될까요? 작년 FTX 파산의 시작이 된 것은 단 한건의 보도였습니다. 바이낸스마저도 이와 비슷한 작은 사건이 방아쇠가 돼 비슷한 과정을 밟지 마란 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습니다. FTX 파산 때에도 여러번 거론된 사항인데요. FTX 파산이나 테라 몰락과 같은 사건을 바이낸스가 반면교사로 삼아 여러 준비를 해왔다는 것입니다. FTX 몰락의 방아쇠를 당긴 FTT와 같은, 바이낸스의 BNB는 바이낸스 자산에서 FTX처럼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BNB 하락에 대한 타격이 FTT보다는 적은 것이죠.
오히려 더 큰 문제는 CEO 리스크입니다. 미국 금융, 사법 당국은 자오창펑 CEO에 대한 조사에 본격적으로 나서려 하고 있습니다. 금융 관련 범죄의 형량이 높은 미국에서 사법 조치가 취해진다면 자오창펑, 바이낸스는 막대한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높은 코인 시장에서는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조심성이 필요하죠. 바이낸스 거래소 사용, 당분간 조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엠블록 파트너 소식🗞
클레이튼 재단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글로벌 ESG 활동을 전개하는 탈중앙자율화조직(DAO) 크립토워커스다오와 전력반도체 기반의 기술로 에너지 전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프로메테우스스페이스파워와 함께 탈중앙화 전력 개발을 통한 이익분배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두나무가 어플리케이션 증권플러스에서 챗GPT 기반 인공지능 투자챗 '우디'의 출시를 앞두고 16일까지 사전 신청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벤트 참여자 전원에게는 '우디'서비스 공식 오픈시 우선 사용혜택과 증권플러스 최상위 회원 등급 1개월권이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