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에 리니지가 있었으니 페이투윈과 플레이투언 모두를 창조했다
대한민국 게임의 역사는 리니지로부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아, 물론 전세계 최초의 그래픽 기반 MMORPG는 넥슨의 바람의 나라이고, 전세계 최초 부분유료화 게임인 퀴즈퀴즈도 있습니다만 우리나라 게임 업계에 아로새긴 족적만 따져보면 리니지를 따라갈 게임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외환위기로 전국이 시름에 빠졌던 1998년 출시된 리니지는 시작 당시만 해도 크게 주목받진 못했습니다. 출시 당시 게임 담당 기자들에게 평생 사용권(!!!)을 제공하고 체험을 독려할 정도로 인지도가 낮았죠.
하지만 투자한 시간에 비례해 강해지도록 잘 설계된 게임 경제, 그리고 당시 크게 히트했던 액션 RPG인 디아블로와 유사한 조작감을 바탕으로 스타크래프트는 어려웠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점점 높은 인기를 누리게 됩니다.
더불어 게임 내 비교적 자유로운 플레이어간 연대와 경쟁, 즉 혈맹과 공성전을 바탕으로 높은 성취감까지 제공하면서 나중에는 린저씨라는 말이 등장할 정도로 폭발적인 흥행을 기록합니다.
리니지, 리니지2, 그리고 모바일 시대에 맞춰 등장한 리니지M과 리니지2M, 여기에 리메이커 버전인 리니지W까지 20여년을 넘게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리니지가 우리나라 게임 업계, 특히 게이머에게 부여한 화두는 다음 두가지로 집약할 수 있겠습니다.
> 이기려면 강해져라, 현금을 내고(페이투윈)
> 게임 열심히 하면 돈도 번다(플레이투언)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 두가지는 놀랍게도 리니지 내에 모두 담겨 있습니다. 리니지 최신작일수록 페이투윈의 비중은 높아지지만 플레이투언도 어떤 형태로든 게이머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계정거래나 다이아 판매, 심지어 BJ와 같은 방송을 통해서도 말이죠.
특히 페이투윈은 굳이 추가로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리니지의 핵심 특성 중 하나이죠.
엔씨 다이노스가 2020년 프로야구 통합 우승을 하면서 들어올린 집행검은 페이투윈의 상징과도 같은 리니지의 아이템입니다. 다이노스의 집행검 세레모니야 말로 페이투윈을 보여주는 그 자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난 2015년 전서버 유일 첫 5강 집행검이 등장했을 때 추정 가격은 수억원이었습니다. 리니지 게임 내에서 집행검의 위력 또한 막강한 수준이구요. 이기고 싶다면, 투자해야죠. 그 말을 정당화시키는 게임이 바로 리니지입니다.
플레이투언도 마찬가지입니다. 게임하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 사실 온라인 게임이 대중화되면서 리니지 뿐 아니라 다른 여러 게임들도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플레이투언을 말하는 은어인 '쌀먹'이 사실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일명 와우에서 나온 말인 것처럼요.
하지만 시세 변동이나 게임 내 수요처, 수요와 공급의 밸런스 등을 고려할 때 이른바 쌀먹을 리니지처럼 잘 보여주는 게임은 없습니다. 리니지의 최전성기 때 리니지 내 게임 통화였던 아덴은 거의 현금과 동일한 취급을 받기도 했으니까요.
모바일 시대가 되면서 쌀먹은 계정 거래나 다이아 거래와 같은 다른 형태로 바뀌면서 많이 퇴화됐지만 여전히 리니지 게임을 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