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머신즈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트코인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구축하는 기업이에요. 스택스(Stacks), 라이트닝 네트워크, 신중한 로그 계약(DLC)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중 오늘 인터뷰에 주로 등장하는 스택스는 비트코인에 스마트 계약, 디파이, 대체불가토큰(NFT) 및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가져오는 오픈소스 블록체인이에요.
엠블록은 비들 아시아 2023에 참여하는 주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 공통 질문을 제시했는데요. 비들 아시아에 방문 예정인 트러스트 머신즈의 문답 내용을 함께 확인해볼까요👀
1. 엠블록레터 구독자분들께 프로젝트를 소개해주세요.
트러스트 머신즈는 비트코인 레이어1 및 레이어2를 활용하여 비트코인을 보다 생산적으로 만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를 구축하는 회사예요. 이를 통해 비트코인을 10억명의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우리의 미션입니다.
트러스트 머신즈가 활용하는 스택스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비트코인 레이어예요. 비트코인은 여러 레이어로 확대되는데, 레이어2는 BTC를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하고 더 빠르고 저렴한 전송을 가능하게해요. 스택스 레이어2는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여러 독립 데이터 집합이 있는 분산형 환경이고요. 즉, 트러스트 머신즈는 비트코인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회사 중 하나인 셈이죠.
2. 비들 아시아 2023에 참가한 이유와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요? 평소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과 산업, 커뮤니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도 궁금합니다.
서울과 그 주변 지역의 블록체인 빌더 커뮤니티는 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요. 트러스트 머신즈는 약 5000억달러에 달하는 BTC의 가치를 좀 더 생산적인 것으로 만듦으로써 자산 가치로만 묶여 있는 비트코인 경제를 해방시키는 것입니다. 한국의 많은 빌더들과 투자자들이 비전의 현실화를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들었어요. 비들 아시아 2023에 참여하는 것은 비트코인 레이어1 및 레이어2 생태계에 인재와 사용자를 교육하고 끌어들이기 위한 트러스트 머신즈의 노력이에요.
3.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시장이 미국발 규제 우려로 위축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미국이 크립토 업계와 협력해 투자자와 소비자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술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고려한 규칙을 통과시키기를 바래요. 비트코인을 도입하는 것은 세계적인 움직임이며, 국경 밖에서 혁신을 추구한다면 미국은 큰 기회를 놓치게 될 거예요. 이 기술의 긍정적인 점들이 미국을 포함한 세계 모든 지역에서 인정받고 규제에 대한 명확성이 제공되기를 희망해요.
4. 올해 웹3 분야의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관심사 중 하나는 비트코인 디파이에요. 비트코인은 디지털 희소성을 허용하며, 우리는 올해 오디널스(Ordinals)의 도입을 통해 아이디어가 가시적으로 실현되는 것을 보고 있어요. 이건 다른 레이어1에서 비트코인 블록체인으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을 실제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고, 비트코인 위에서 최초로 추가 발견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죠.
우리는 2017년에 밈 코인과 NFT가 레이어1의 사용량, 그리고 수수료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던, 이더리움에게 불었던 혁신 사례를 지금 비트코인에게서 보고 있어요. 웹3 신원인증, 예술, 통신, 결제, 문화 등이 올해 비트코인에 대거 돌아오면서 라이트닝, RSK, 스택스 등 비트코인 레이어2의 길을 터줄 것으로 보여요.
6. 한국 블록체인 커뮤니티에 말하고 싶은 한마디가 있다면?
|